JavaScript
2
Javascript :: 동적으로 변수 생성
2024.11.26
// 객체 생성let dynamicVars = {};// 동적으로 변수명 생성for (let i = 0; i 이렇게 무지성 변수도 선언할 수 있고,${i} 대신 기존에 선언해두었던 변수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나의 경우에는 배열 안의 값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검증한 결과를 저장해둬야 해서 동적 변수를 구현하게 되었음. 예를 들면 그리드안에 배열[] 안에 있는 값과 이름이 같은 컬럼에 데이터를 확인하는 일이다.그때는 아래와 같이 변형해서 사용할수도 있다. const checkColumns = ['Nation', 'Dept', 'Name', 'Age'] _.forEach(dataList, (row, index) => { let dynamicVars = {}; // 동적으로 변수명 생성 for (let i ..

JS :: 디바운스(Debounce)와 스로틀링(Throttling)
2024.01.15
예를 들어보자. 어떤 값을 입력할 때 해당 단어가 포함된 단어를 제공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상황. = 검색엔진 검색어 추천 결과 같은 기능. 이럴 때 글자가 변할 때마다, 어떤 function 이나 API를 호출하여야 하는데.. 너무 잦은 함수 호출이 일어난다. 물론 프론트엔드와 백엔드에서 성능 최적화가 되어 있으면 문제가 덜 일어날 수도 있으나.. 그래도 만일의 문제를 제거해주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이때 보통 디바운스 Debounce 와 쓰로틀링 Throttling 의 개념을 적용하게 되는데 이 두가지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적어보고자 한다. 공통점 디바운스와 쓰로틀링의 공통점은.. 1. 함수가 너무 많이 호출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테크닉의 종류이며, 2. 성능 최적화와 리소스 관리에 많이 사용되는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