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V
2

React :: 환경에 따른 .env(환경 변수) 셋팅하기
2023.11.20
React 프로젝트를 개발하다보면, 배포 환경?에 따라 다르게 환경 변수를 셋팅해야하는 case가 발생한다. 예를 들면, 보통 API 주소를 환경 변수로 많이 셋팅해두고는 하는데.. 운영 API 주소와 개발 API 주소를 배포 환경에 따라 다르게 셋팅해두고 싶은 case가 딱 이에 해당한다. React :: 환경변수(.env) 셋팅하기 토큰이나 API 키 같은 것은 하드코딩으로 집어 넣으면 배포 시 개발자 도구에 모두 드러나기 때문에 최대한 숨겨서 코딩을 진행해야 한다. 이때 사용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가 "환경변수" 이다. bornatnoon.tistory.com 우선 기초 셋팅 방법을 첨부해본다. (.env 파일을 하나만 쓰는 케이스) 케이스에 따른 .env 설정 방법 ※ 참고. 리액트 프로젝트 생..

React :: 환경변수(.env) 셋팅하기
2
2023.11.20
토큰이나 API 키 같은 것은 하드코딩으로 집어 넣으면 배포 시 개발자 도구에 모두 드러나기 때문에 최대한 숨겨서 코딩을 진행해야 한다. 이때 사용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가 "환경변수" 이다. 그럼에도.. CRA 공식 문서에서는 다음과 같은 주의 사항을 전달한다. WARNING : Do not store any secrets (such as private API keys) in your React App 비공개 API 키 같은 값을 저장하는 것을 지양하는 이유는 환경 변수가 '빌드'에 내장되어 누구든지 이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 1. .env 파일 생성 최상단 루트에 .env 파일을 생성해주도록 하자. .env 파일은 꼭 프로젝트 파일 최상단에 있어야 함. 2. .gitignore 설정 .env .e..